Dev/Linux

[Linux] 기본 명령어 정리(옵션) + 기타

kyeoneee 2018. 3. 27. 00:57
반응형

tar

압축과 관련된 명령어


압축하기 : $ tar [-옵션] 압축파일이름 압축할파일이름

압축풀기 : $ tar [-옵션] 압축파일이름 [-C 압축파일이 풀어질 경로]


옵션

-c : 새로운 아카이브(tar) 생성

-x : 압축 해제

-v : 압축시 진행률 표시

-z : gzip 압축 및 압축해제

-f : 파일 이름 지정

-p : 모든 퍼미션 정보를 유지한다

-C (대문자) : 압축 해제시 경로 지정




mkdir

폴더 생성 명령어


$ mkdir [-옵션] 디렉토리명


옵션

-p : 상위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을 때 함께 생성

-m : 새로 만든 디렉토리의 권한을 설정




du

디렉토리 별 사용량 확인 명령어


$ du [-옵션] [--세부옵션] [경로]


옵션

-a : 모든 파일들의 기본정보를 보여줌
-b : 표시 단위를 Byte로 함
-k : 표시 단위를 KB단위로 함 (default)
-h : 사용량을 1K, 234M , 2G 등의 형태로 보여줌
-c : 모든 파일의 디스크 사용정보를 보여주고 나서 합계를 보여줌
-s : 총 사용량을 확인
-x : 체크하는 경로안에 다른 시스템이 있으면 생략
-D : 심볼릭 링크 파일이 있을경우 원본의 값을 보여줌 (= -L)




df

파일 시스템 사용량을 알려주는 명령어


$ df [-옵션] 파일명


옵션

-a : 현재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파일단위 출력

-s : 총 사용량을 확인

-h 사용량을 1K, 234M , 2G 등의 형태로 보여줌

-sh * : 한단계 서브디렉토리 기준으로 보여줌

-F :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파악 가능  (-Fh 명령어를 쓰면 파일시스템 유형과 용량을 확인하기 더 쉬워짐)




man

명령어의 매뉴얼을 보여주는 명령어


$ man [명령어]

$ [명령어] --help




touch

파일 생성 및 파일의 날짜정보 변경하는 명령어


$ touch [-옵션] 파일명


옵션

없음 : 빈 파일 생성

-c : 현재 시간으로 파일 날짜정보 변경

-t : 파일의 날짜 정보를 원하는 대로(YYYYMMDDhhmm 형식) 변경 (ex. touch -t 201306141200 newfile )

-r : b파일의 날짜 정보를 a파일의 날짜 정보와 같이 변경 (ex. touch -r a.txt b.txt)




head

파일의 앞 부분을 확인하는 명령어


$ head [-라인수(default 10)] 파일명




tail

파일의 끝 부분을 확인하는 명령어


$ talil [-라인수(default 10)] 파일명




more

내용이 많은 파일을 화면단위로 끊어 보여주는 명령어


$ more 파일명


more 화면 내의 명령어

h : more 명령어상태에서 키 도움말 확인

Space Bar or f : 한 페이지씩 뒤로 이동 

Enter : 현재 행에서 한 행씩 뒤로 이동

q : more 명령어 종료

b : 한 페이지씩 앞으로 이동

= : 현재 위치의 행번호 표시 

/문자열 : 지정한 문자열을 검색 

n : /문자열로 검색한 문자열을 차례대로 계속해서 찾기 

!쉘명령어 : more 명령어상태에서 쉘명령어를 실행

v : more 명령어로 열려있는 파일의 현재위치에서 vi를 실행




less

내용을 스크롤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명령어


$ less 파일명

$ 명령어 | less (ex. ls 폴더명/ | less)


less 화면 내의 명령어

Space Bar or f : 한 화면 뒤로 이동

b : 한 화면 앞으로 이동

Enter : 한 행씩 뒤로 이동

숫자+n : 원하는 페이지만큼 뒤로 이동하고 이후부터는 n만 눌러도 해당 숫만큼 페이지 이동

q : less 수행종료





cmake

기존의 make에서 makefile에 의존성 정보가 잘못 기술되어 있으면 빌드가 잘 안되는 단점이 존재

이를 보완하여 최종 빌드 결과물과 이를 빌드하기 위한 소스 파일들만 명시해 주면 cmake가 소스파일 내부까지 들여다보고 분석하여 의존성 정보를 스스로 파악하여 빌드를 해줌


cmake코드 ($ cmake cmake코드파일명) -> makefile을 생성 -> make로 빌드 ($ make makefile명)

반응형